[ 짧고 쉬운 경제 ] | 화폐, 통화, 그리고 신용창조 | 수요/공급,소비자잉여/생산자잉여 |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 | 비교우위/절대우위, 보호무역/자유무역 |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 한계(Marginal) | 자본과 노동, 장기와 단기 | 저량수요와 저량공급 | 사유재 / 클럽재 / 공유자원 / 공공재 | GDP의 산출과 Y=C+I+G+NX | 인당 GDP와 노동소득분배율 | 외환보유고 | 통화정책과 기준금리 | 주택담보대출과 LTV / DTI / DSR | 지니 계수 - 소득 불평등의 측정 | 브레튼우즈 체제 / 달러와 기축통화[1] | 페트로달러 체제 / 달러와 기축통화[2] | 플라자 합의 /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 | | 경제정책=재정정책+통화정책국제수지=경상수지+자본수지규모의 경제 | 범위의 경제근면 혁명기저효과낙수효과 | 분수효과대공황 | 대침체 | 대봉쇄대분기(논쟁)디폴트 | 모라토리움레몬마켓모럴 해저드맬서스 트랩베어마켓/불마켓벤포드의 법칙배출권 거래 제도시장실패/정부실패실업/실업률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증자/감자좌파/우파카르텔쿠즈네츠 가설케인스폰지게임필립스곡선환율휘플지수/ABCC지수FED | FRB | FOMCJ커브효과 | 마샬-러너조건PBR | PER | EV/EBITDA | ROE | EPS |
[ 맨큐의 경제학 ] | 1부. 서론 | 2부. 시장의 작동 원리 | 3부. 시장과 경제적 후생 | 4부. 공공경제학 | 5부. 기업행동과 산업조직 | 6부. 노동시장의 경제학 | 7부. 소비자선택이론과 미시경제학... | 8부. 거시경제 데이터 | 9부. 장기 실물경제 | 10부. 화폐와 물가의 장기적 관계 | 11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12부. 단기 경기변동 | 13부. 책 말미에 | | |
[ 미시경제학 ] | [미시.1] 소비자선택이론 | [미시.2] 생산자선택이론 : 생산함수 | [미시.3] 생산자선택이론 : 비용함수/공급함수 | [미시.4] 노동시장의 수요/공급/균형 | [미시.5] 일반균형이론과 후생경제학 | |
[ 거시경제학 ] | [거시.1] 국민소득결정이론 | [거시.2] IS-LM 모형 | [거시.3] AD-AS 모형 | [거시.4] IS-LM-BP 모형 |
[ 기타 / 개인적인 생각 ] | 공공경제학의 의의 | 금융시장론 요약 | 유동자산총액 결정 매커니즘 | 환율의 정의/환율-경상수지 결정모형 | 고용의 개념 및 측정상의 문제 | 주택가격결정 모형 | 다양한 국제 환경 협약이 우리나라... | 소비함수(절대/상대/항상) | 기준금리와 국채수익률의 관계 | 주식, 차트 보는 방법 | 2021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비트코인과 가상화폐 (개인의 견해) | 게임스탑(GME) 주가 폭등 사건 | 2022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중위 연령 - 늙어가는 우리나라 | 2022년 엔저 효과 (개인의 견해) | 2023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2024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
|
1. 외환보유고의 의미
(공적)외환보유고(Foreign Exchange Reserves)는 중앙은행과 정부가 대외 지급준비금 명목으로 보유하는 고유동성 외화자산의 총가액을 의미한다.
- 전 세계적으로는 미국 달러 60%, 유럽 유로 30%, 일본 엔 5%, 영국 파운드 3%, 금 1% 정도의 비율을 나타낸다고 한다.
- 위키백과에 따르면 “중앙은행이 보유한 국제 무역에서 외국 상품과 바꿀 수 있는 돈으로, 현금인 상품(황금)과 외국 발행 채권으로 구성되며, 국가 무역 규모에 따라 일정 비율 외환지급준비금을 충분히 준비해야 국가 신용이 높고, 1인당 외환이 많을수록 부자 국가라 할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경제 규모와 무역 규모를 고려해서 회비로 할당 납부한 25% 특별인출권(SDR) 75% 자국 화폐로 납부한 IMF포지션, 그리고 외국 화폐와 외국 국채로 구성된다. IMF포지션은 다른 국가가 인출해서 쓰는 만큼 자국 화폐를 발행해서 추가 납부할 수 있고, SDR은 금(2,814톤 확보) 납부가 원칙이지만, 주요 통화로 편성된 달러 엔 파운드 유로 위안 납부도 병행한다.”라고 되어있다.
- 외환보유고 : 위키백과에서 보기
2. 외환보유액의 구성
유가증권(외국 채권), 예치금(외국 화폐), SDR, IMF포지션, 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 SDR(Special Drawing Rights) :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발급하는 유가증권이다.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국제준비자산이며, (미국)달러, 유로, (영국)파운드 스털링, (일본)엔화, (중국)위안화를 섞어서 만든 바스켓통화이다.
- IMF포지션 혹은 리저브트랑슈(reserve tranche) : 국제통화기금(IMF) 가맹국이 국제수지가 악화되었을 경우 기금에서 무조건 외화를 융자받을 수 있는 한도. 국제통화기금(IMF) 가맹국은 출자액의 25%를 SDR의 형태로, 75%를 자국통화로 불입하고 있다. 외화 융자한도는 [출자액(100%) – IMF의 자국통화 보유액(75%)]으로 리저브트랑슈(IMF포지션)는 출자액의 25%에 해당한다. 리저브트랑슈는 IMF에 출자한 SDR의 양과 동일한 것 같다.
3. 외환보유고의 수단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은 한국은행과 정부가 환율안정을 목적으로 조성하는 ‘외국환 평형기금’의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외평채’라고 부른다. 외평채는 원화와 외화표시, 두 종류로 발행할 수 있다. 환율(현실적으로는 달러값)이 급락(원화 가치 상승)하면 정부는 원화표시 외평채 발행을 통해 원화를 확보하여 외환시장에 공급하고, 환율(현실적으로는 달러값)이 급등(원화 가치 하락)하면 정부는 외화표시 외평채 발행을 통해 외화를 확보하여 외환시장에 공급하여 외환시장을 안정시킨다.
- 외국환평형기금채권에 대한 내용은 경향비즈의 해당 내용을 참고하였다. 경향비즈에서 보기
- 외환시장은 해당국에 존재하는 것이다. 외화의 수요와 공급 그래프(저량)를 생각하면 쉽다. 달러값이 급등하면 외환보유고의 풀어서 달러 공급량을 올려주고, 달러값이 급락하면 원화로 달러를 사서 외환보유고를 채우는 것이다.
4. 외환보유고의 목표
(1) 상품 수입시 지불할 외환 준비
(2) 국부
(3) 환율 안정
5. 외환보유고와 환율
(1) 환율(현실적으로 달러값)이 상승하는 것은 수입품의 가격이 비싸지는 것이다.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다.
(2) 환율(현실적으로 달러값)이 하락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수출품의 가격이 비싸지는 것이다. 때문에 수출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 반대로 환율 상승->수출 경쟁력 강화, 환율 하락->물가 하락이다.
때문에 환율 급등(수입품 물가 급등)과 환율 급락(수출 경쟁력 하락)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여 외환보유고를 이용하여 환율을 안정시키는 것이다. 중요한 한가지는 환율이 급락하여 정부와 한국은행이 외환시장에 원화를 공급하여 달러를 사들이는 것은 큰 문제가 없지만, 환율이 급등하여 정부와 한국은행이 외환보유고에 있는 외화를 풀어서 원화를 사들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외화는 우리나라의 화폐가 아니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외환보유액만큼만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외환보유고 관련 뉴스가 나온다면 어떤 이유로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는지, 혹은 어떤 이유로 외환보유고를 쌓고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 여담으로 우리나라의 1997년 외환 위기가 바로, 외환보유고에 외환보유액이 없어서 생긴 문제였다.
- 개인적인 의견 : 우리나라는 여전히 수출주도형 국가로, 환율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외환보유액과 환율의 균형에 어떤 ‘적당함’이 있다면, 그 ‘적당함’보다는 외환보유액은 조금 더 많고, 환율은 조금 더 높은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정도. 본 의견에 대해 궁금하다면 참고 : 오케이 배선영에서 외환보유고의 개념 보기
[ 짧고 쉬운 경제 ] | 화폐, 통화, 그리고 신용창조 | 수요/공급,소비자잉여/생산자잉여 |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 | 비교우위/절대우위, 보호무역/자유무역 |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 한계(Marginal) | 자본과 노동, 장기와 단기 | 저량수요와 저량공급 | 사유재 / 클럽재 / 공유자원 / 공공재 | GDP의 산출과 Y=C+I+G+NX | 인당 GDP와 노동소득분배율 | 외환보유고 | 통화정책과 기준금리 | 주택담보대출과 LTV / DTI / DSR | 지니 계수 - 소득 불평등의 측정 | 브레튼우즈 체제 / 달러와 기축통화[1] | 페트로달러 체제 / 달러와 기축통화[2] | 플라자 합의 /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 | | 경제정책=재정정책+통화정책국제수지=경상수지+자본수지규모의 경제 | 범위의 경제근면 혁명기저효과낙수효과 | 분수효과대공황 | 대침체 | 대봉쇄대분기(논쟁)디폴트 | 모라토리움레몬마켓모럴 해저드맬서스 트랩베어마켓/불마켓벤포드의 법칙배출권 거래 제도시장실패/정부실패실업/실업률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증자/감자좌파/우파카르텔쿠즈네츠 가설케인스폰지게임필립스곡선환율휘플지수/ABCC지수FED | FRB | FOMCJ커브효과 | 마샬-러너조건PBR | PER | EV/EBITDA | ROE | EPS |
[ 맨큐의 경제학 ] | 1부. 서론 | 2부. 시장의 작동 원리 | 3부. 시장과 경제적 후생 | 4부. 공공경제학 | 5부. 기업행동과 산업조직 | 6부. 노동시장의 경제학 | 7부. 소비자선택이론과 미시경제학... | 8부. 거시경제 데이터 | 9부. 장기 실물경제 | 10부. 화폐와 물가의 장기적 관계 | 11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12부. 단기 경기변동 | 13부. 책 말미에 | | |
[ 미시경제학 ] | [미시.1] 소비자선택이론 | [미시.2] 생산자선택이론 : 생산함수 | [미시.3] 생산자선택이론 : 비용함수/공급함수 | [미시.4] 노동시장의 수요/공급/균형 | [미시.5] 일반균형이론과 후생경제학 | |
[ 거시경제학 ] | [거시.1] 국민소득결정이론 | [거시.2] IS-LM 모형 | [거시.3] AD-AS 모형 | [거시.4] IS-LM-BP 모형 |
[ 기타 / 개인적인 생각 ] | 공공경제학의 의의 | 금융시장론 요약 | 유동자산총액 결정 매커니즘 | 환율의 정의/환율-경상수지 결정모형 | 고용의 개념 및 측정상의 문제 | 주택가격결정 모형 | 다양한 국제 환경 협약이 우리나라... | 소비함수(절대/상대/항상) | 기준금리와 국채수익률의 관계 | 주식, 차트 보는 방법 | 2021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비트코인과 가상화폐 (개인의 견해) | 게임스탑(GME) 주가 폭등 사건 | 2022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중위 연령 - 늙어가는 우리나라 | 2022년 엔저 효과 (개인의 견해) | 2023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2024년 경제전망 (개인의 견해) | |
|
현식로그 홈
경제(Economy) 목록
No Comments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을 남겨주시면 잊지 못할 것입니다.
현식로그 홈
경제(Economy)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