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애플워치를 구매하지 않은 이유는 필요하지 않았고 가격도 비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러닝을 위해 과감하게 울트라3를 구매했다. 나는 아이폰, 에어팟, 애플TV, 아이패드, 맥북 등 완전한 애플 생태계의 유저이기 때문에 워치도 애플워치로 하고 싶었고, 궁극적으로 마라톤을 위한 선택이었기에 배터리가 오래 가는 울트라3를 고른 것이다.
하지만 몇 번의 조깅과 10K 대회를 함께한 후,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확실히 멋지다. 만약 일상에서도 사용할 스마트 워치 혹은 패션 워치가 필요한 것이었다면 분명히 울트라3로 했을 것 같다. 확실히 애플의 디자인이다. 그러나 나는 개인적인 철학으로 인해 평소에는 시계를 착용하지 않고, 울트라3는 일상 생활이나 잠잘 때 착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무거운 것이 사실이다.
- 수면 측정을 위해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면, 절대 잘 때 착용할 수는 없다. 일상에서 사용할 때도, 오션 밴드의 특성상 손목에 땀이 매우 많이 나서 답답하다. 만약 다른 밴드라면 러닝 중에 땀 때문에 밴드가 오래 가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울트라3는 다시 보내줄 수 밖에 없었다. 정말 아름다웠으나, 아쉽게도 울트라3는 나에게 1,249,000원에 상응하는 어떤 것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느꼈다.
결국 가민 포러너 165를 구매하고 테스트 중에 있는데, 2025년 10월 현재, 러닝할 때는 가민이 맞는 것 같다.
- 포러너 165는 가민 포러너 시리즈 중 저렴한 모델이지만, 399,000원이다. 그조차도 솔직히 아깝게 느껴졌다. 그래서 더 저렴한 포러너 55를 구매하고 싶었으나, 55는 GPS 정확도가 떨어지고 고도 측정을 지원하지 않는다. 게다가 AMOLED 디스플레이가 아니어서 화면 시인성이 부족할 것 같다는 우려도 있었다. 결국 울며 겨자 먹기로 165를 선택했다. (다만 다른 사용자들의 리뷰에 따르면, 포러너 55도 실제로는 시인성이 부족하지 않다고 한다. 여담으로 55는 터치가 안되기도 하지만, 포러너 시리즈에는 터치 기능이 필요 없다.)
- 애플워치는 정말 애플답지 않은 제품이다. 애플은 모든 제품이 비싼 편이지만, 확실한 기능과 세련된 UI, 그리고 멋진 디자인을 제공한다. 그러나 애플워치는 배터리 문제가 심각한 데다 특별히 돋보이는 기능도 없다. 단순히 패션을 위한 시계라면, 나는 시계는 착용하지 않아서…
아이폰 이전에는 PDA 시장이 존재했다. 데스크톱 시장은 MS의 윈도가 장악하고 있었고, 많은 PDA에 포함된 윈도 CE나 포켓 PC는 꼭 데스크톱의 윈도 OS처럼 생겼으며, 약 절반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나머지 절반은 팜(Palm) OS가 차지했는데, 팜은 PDA 본연의 기능인 일정 관리(지금의 달력 기능)에 충실해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었다. 기기 측면에서는 MS 진영은 HP나 컴팩 제품이 많았고, 팜 진영은 팜과 소니, 핸드스프링 등이 있었다. 그러다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이 시장은 모두 무너졌다. 아이폰이 획기적이었떤 더 강력한 여러 이유가 있지만, 어쨌든 아이폰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OS는 PC의 OS와는 달라야 한다는 점을 보여줬고, 일정 관리 기능은 스마트폰의 극히 일부일 뿐이라는 사실을 확실히 보여줬기 때문에 사람들은 아이폰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 우리나라에는 셀빅OS가 있었다. 점유율이 꽤 높았다.
지금 상황도 그때와 비슷하다. 애플은 iOS를 단순히 수정한 watchOS를 만들어서 애플워치에 적용했고, 안드로이드 진영도 안드로이드를 단순히 수정한 Wear OS를 여러 스마트워치에 넣었다. 이들은 예전의 MS, HP, 컴팩과 비슷하다. 반면, 가민·코로스·순토 등은 자체 OS를 통해 스마트워치 본연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헬스케어와 스포츠 기능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는 예전의 팜, 소니, 핸드스프링과 닮아 있다.
- 우리나라에는 뉴런이 있다. 점유율이 높지는 않다.
결국 스마트워치에는 그에 맞는 OS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애플워치의 사용 시간이 말이 되나? 스마트폰이 데스크톱 컴퓨터와 다르듯, 스마트워치도 스마트폰과는 다르다. 애플워치는 정상적인 제품이 아니다.
헬스 케어를 위한 디지털 기기는 결국 스마트 글래스가 가장 중요해 보인다. 그런데 좀 오래 걸리는 것 같다. 애플이나 메타, MS, 구글 등의 회사들이 이제 다 늙어 버린 것 같다. 메타-레이벤? 이것도 좀 뭔가 늙은 느낌 아닌가…
원본이 삭제될 경우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