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고 쉬운 경제] 사유재/클럽재/공유자원/공공재 – 경합성과 배제성으로 재화를 구분
본 내용을 통해 소비에 있어서의 경합성과 배제성을 기준으로 재화를 구분하는 방법과 구분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본다.
본 내용의 본질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시장실패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시장실패에 대해 알아보기]
1. 경합성과 배제성으로 재화를 구분하는 방법
[ 경합성 ...
[짧고 쉬운 경제] 수요와 공급, 그리고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는 무엇인가?
수요와 공급 그리고 소비자잉여과 생산자잉여에 대해 다루는 내용이다.
다음 내용에서 초과공급과 초과수요에 대해 따로 다룰 예정이다.
본 내용과 관련하여 수많은 가정이 필요하겠지만 대체적으로 과감히! 생략되었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수요와 공급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시장실패(market failure)와 정부실패(government failure)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는 내용이다.
[1] 시장실패
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나뉜다. 이번 내용은 그중에서도 미시경제학과 관계가 깊다. 미시경제학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본주의가 어떻게 효율적일 ...
[짧고 쉬운 경제] 로렌츠 곡선과 지니 계수 – 소득 불평등의 측정 방법
이번 내용은 로렌츠 곡선과 지니 계수에 대한 내용으로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와 위키백과를 많이 참고하여 작성한다.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소득 불평등을 측정하는 방법 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통계학적 지수이다.
이탈리아의 통계학자인 코라도 지니(Corrado Gini)가 ...
1. 외환보유고의 의미
(공적)외환보유고(Foreign Exchange Reserves)는 중앙은행과 정부가 대외 지급준비금 명목으로 보유하는 고유동성 외화자산의 총가액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는 미국 달러 60% 유럽 유로 30% 일본 엔 5% 영국 파운드 3% 금 1% 정도의 비율을 나타낸다고 한다....
[짧고 쉬운 경제] 플라자 합의,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은 무엇인가?
본 내용은 플라자 합의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에 대한 내용이다.
단순히 나무위키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플라자 합의 바로보기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바로보기
[1] 플라자 합의
플라자 합의는 1985년 9월 22일에 뉴옥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G5(...
본 내용은 실업 실업률에 대해 최대한 단순하게 다루는 내용이다.
실업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실업(unemployment)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가진 사람이 일자리를 갖지 못하거나 갖지 않은 상태 ]
중요한 것은 일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 혹은 취업을 포...